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잡지식/부동산지식 정보공유

1. 부동산 용어 DSR, DTI, LTV의 의미

by 개으른흑수저우기(개흑우) 2021. 12. 11.
1. DSR

DSR이란 주택담보대출에서 원금과 이자(원리금) 상환액과 다른 기타 대출의 원리금을 모두 포함하여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즉 1년에 갚아야 할 원리금 총액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연봉이 4천만원인 경우 DSR이 40%이면 연소득의 40%인(4000×0.4) 1600만원이

모든 대출의 원리금상환액이 1년동안 내야하는 금액이 되는 것 입니다.

 

"DSR曰 : 음 너는 연봉이 4천만원인데 신용대출로 월에 원리금 @@만원이 있네?

 너가 주택담보대출을 받고 싶으면 월에 133만원정도가 DSR한도인데 @@만원을 뺀 만큼만 빌려줄 수 있어"

 

단, 여기서 DSR에 포함되지 않는 대출이 있는데 21.10.26 DSR규제에 따른 대책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금융위원회 가계부채 보도자료

현재는 신용대출의 경우 1억원이상의 신용대출에만 DSR을 포함시키고 있는데 22년 7월 이후에는 소액이라도

신용대출 역시 DSR에 포함될 예정입니다.

 

2. DTI

DTI는 총부채상환비율로서 연소득에서 대출원리금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연봉이 4천만원인 경우 DTI가 50%이면 연소득의 50%인(4000×0.5) 2000만원까지 상환이

가능한 것입니다.

 

단, DSR과 다른점은 DSR의 경우 신용대출, 자동차할부등 뿐만아니라 전체금융부채를 통합하여 계산하지만 DTI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신용대출등의 이자의 비율에 한해서만 적용합니다.

 

즉, DSR이 DTI의 큰 범위의 의미로 생각하면 됩니다.

 

3. LTV

LTV는 주택담보대출의 비율로서 말 그대로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기 위하여 개인의 소득과 상관없이

국세청의 감정가액 또는 KB시세를 통한 자료로 기준을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아파트의 분양가격이 3억일 경우 LTV가 60%라고 한다면 주택담보대출을 1억8천만원까지

빌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현재는 DSR, DTI, LTV모두 정부정책상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주택관련 대출시에 주의 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