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잡지식12

4. 부동산 세금종류 양도세 양도세 양도소득세는 집을 보유 이후 다른사람에게 매도시에 발생하는 차익(이익)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집 뿐만 아니라 상가를 포함한 모든 부동산에 관하여 부과되는데 양도할 경우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자신이 거주하는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예정 신고 및 납부를 하여야 합니다. 기본세율 및 중과세율 양도세는 기본적으로 양도차익에 따라서 얼마나 보유하였는지 또 얼마나 차익을 남겼는지에 따라 세금을 다르게 부과하게 됩니다. 보유기간 과세표준 기본세율 조정대상지역 2주택 조정대상지역 3주택 누진공제 2년 이상 1200만원 이하 6% 26% 36% 4600만원 이하 15% 35% 45% 108만원 8800만원 이하 24% 44% 54% 522만원 1억5천 이하 34% 55% 65% 149.. 2021. 12. 13.
3. 용적률과 건폐율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건 올해 9월쯤 친구가 분양권에 투자를 시작했다고 들었고, 나도 주식이나 재테크를 해야겠다는 생각은 있었는데 부동산에는 크게 관심이 없었었다. 그렇게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였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네이버부동산에 들어가서 아파트시세가 어떤지 보았었다. 관심있는 아파트정보를 검색해보면 항상 나오는 정보 중 하나가 용적률과 건폐율이였다. 그래서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용적률이란 아파트 또는 빌딩등 일정한 대지면적 내에 건축물의 건축바닥면적을 모두 합친값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한마디로 용적율은 한정된 대지내에서 얼마나 높이 쌓았는지 나타낸 지표이다. 단 여기서 지하층면적과 필로티 구조의 면적은 제외하고 계산된 것이라 한다. 용적율은 몇종 일반주.. 2021. 12. 11.
2. 규제 및 비규제지역의 DTI, LTV, DSR 1.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에 따른 각각 DTI, LTV를 비교한 표입니다. 20년 7월부터는 규제지역 내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여 주택매입을 할 경우 전입의무기간 내에 전입을 하여야 합니다. ▶ 무주택자 : 6개월 이내 전입 ▶ 유주택자 : 6개월 이내 기존주택 처분 후 전입완료 2. 서민 실수요자 주택담보대출 우대요건 및 혜택 강화된 주택담보대출로 인하여 실수요자들의 주택구매가 어려워져서 21.05.31에 금융위원회에서 완화된 대책이 나왔습니다. LTV와 DTI는 완화 되었지만 최대 4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도록 되었습니다. 3.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따른 DSR 조기시행 정부는 차주단위 DSR을 시행하면서 부동산의 상승기조가 수그러들지 않음으로 인해 21년 10월 차주단위 DSR을 조기시행하겠다는 발.. 2021. 12. 11.
1. 부동산 용어 DSR, DTI, LTV의 의미 1. DSR DSR이란 주택담보대출에서 원금과 이자(원리금) 상환액과 다른 기타 대출의 원리금을 모두 포함하여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즉 1년에 갚아야 할 원리금 총액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연봉이 4천만원인 경우 DSR이 40%이면 연소득의 40%인(4000×0.4) 1600만원이 모든 대출의 원리금상환액이 1년동안 내야하는 금액이 되는 것 입니다. "DSR曰 : 음 너는 연봉이 4천만원인데 신용대출로 월에 원리금 @@만원이 있네? 너가 주택담보대출을 받고 싶으면 월에 133만원정도가 DSR한도인데 @@만원을 뺀 만큼만 빌려줄 수 있어" 단, 여기서 DSR에 포함되지 않는 대출이 있는데 21.10.26 DSR규제에 따른 대책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는 신용대출의 경우 .. 2021. 12. 11.